[우리말바로쓰기] 공공언어 바로 쓰기 표준국어대사전 우리말샘 국어생활종합상담실 활용
공공언어의 개념 공공언어는 공공기관에서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공공의 목적을 위해 사용하는 언어를 말하고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사용하는 모든 언어를 포괄하는 개념입니다. 공공언어의 종류는 국가, 공공기관, 민간단체, 민간기업, 공인 등 국민을 대상으로 사용하는 언어로 정부문서, 민원서류 양식, 보도자료, 법령, 판결문, 게시문, 안내문, 설명문, 홍보문 등 정책 브리핑, 대국민 담화, 전화 안내 등이 포함되며 신문, 인터넷 등 기사문, 은행, 보험, 증권 등의 약관, 해설서, 사용설명서, 홍보 포스터, 광고문, 거리 간판, 현수막, 공연물 대본, 자막 등 방송 언어, 약관이나 사용 설명 안내, 공연물의 대사 등을 포함합니다. 공공언어의 요건과 편의성 공공언어의 요건은 정확성에서는 표기의 정확성과 표현의 정..
2021. 8. 21.
[우리말바로쓰기] 공공언어 통합 지원과 김치의 올바른 외국어 표기법
국립국어원은 2013년부터 공공용어 번역 표준화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공공용어의 표준화는 공공 분야에서 사용되는 우리 한국어, 한국 문화에 대해 공공성, 소통성, 규범성을 준수하여 외국인에게 바르게 알리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습니다. 관광용어로써 자연물, 인공물과 관련된 지명, 도로명, 공공 관광 안내 표지판 등 관광 관련 공공 분야 용어와 한식명, 문화재명 일부, 한국학에 관련된 문화 분야 용어에 대해 영어, 중국어, 일본어의 표준 번역 안을 ‘공공용어 번역 정보’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공공언어 감수 요청 공공언어 공공언어는 ‘공공 기관에서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공공의 목적을 위해 사용하는 언어’를 말합니다. 국립국어원은 쉽고 바른 공공언어가 정착될 수 있도록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공..
2021. 8.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