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말바로쓰기

[우리말바로쓰기] 공공언어 통합 지원과 김치의 올바른 외국어 표기법

by Wany 와니 2021. 8. 21.
320x100

국립국어원은 2013년부터 공공용어 번역 표준화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공공용어의 표준화는 공공 분야에서 사용되는 우리 한국어, 한국 문화에 대해 공공성, 소통성, 규범성을 준수하여 외국인에게 바르게 알리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습니다. 관광용어로써 자연물, 인공물과 관련된 지명, 도로명, 공공 관광 안내 표지판 등 관광 관련 공공 분야 용어와 한식명, 문화재명 일부, 한국학에 관련된 문화 분야 용어에 대해 영어, 중국어, 일본어의 표준 번역 안을 ‘공공용어 번역 정보’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공공언어 감수 요청

공공언어 공공언어는 ‘공공 기관에서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공공의 목적을 위해 사용하는 언어’를 말합니다. 국립국어원은 쉽고 바른 공공언어가 정착될 수 있도록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을 대상으로 공공언어 감수를 하고 있습니다. ‘공공언어 감수 요청’ 게시판에서는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에 근무하는 사람들이 대국민 공문서에 대한 문장 감수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공공언어 감수 현황’에서는 감수 요청에 대한 처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감수 소요 기간

ㅇ 감수 분량과 원내 감수 업무 처리 현황에 따라 다릅니다.

ㅇ 검토 결과를 받고자 하는 기한을 적어 주시면 업무 진행에 도움이 되겠습니다.

감수 분량 및 횟수

ㅇ 요청 가능 분량(감수량 기준)

- 문서: 200자 원고지 100장까지

- 용어: 100개까지

ㅇ 요청 가능 건수

- 기관별 연간 15건까지만 지원 가능(, , , 위원회 등 중앙행정기관은 연간 20건 지원 가능)

건수 감수를 요청한 횟수와 관계없이 감수를 요청한 문서의 개수를 말함.

(: 문화재 안내판 2개와 조례 1개를 한 번에 감수 요청하면 3건으로 처리)

기관의 기준은 독립 기관으로 함.

(: 문화재청 소속의 국립문화재연구소와 국립 고궁박물관의 요청은 따로 산정함.)

감수량 기준을 넘는 경우 「국어기본법」「국어 기본법」에 따라 지정된 국어 전문 기관인 전국의 국어문화원(현재 20)에 의뢰해서 감수를 받을 수 있음.(요청자가 비용 부담)

감수 대상 문서

ㅇ 안내문, 공고문 등

: 문화재 안내문, 지하철·미술관 안내 방송 문안, 표창장 문안, 인력 선발 공고문 등

ㅇ 법령, 조례, 규정, 지침 등

: 법률, 사무 분장 규정 일부 개정안, 국어 사용 조례안, 요양 보호사 관련 규정, 교육훈련 지침 등

ㅇ 표어, 대체할 용어 등 검토

: 불법 주정차 금지 표어, 대기 오염 예보 등급 대체 용어 등

감수 대상 제외 문서

ㅇ 공공성이 약한 문서

- 기관 내부용 문서

: 개회사, 행사 시나리오, 내부 기안 문서 등

- 기관에서 발행하는 보고서 등

: 연구 보고서, 업무 결과 평가서, 학습 지도안 등

- 개인의 언론 기고문 등

: 기관장이나 직원의 언론 기고문 등

ㅇ 반복적 문서

- 비슷한 성격의 문서를 반복적으로 요청하는 경우

: 해마다 또는 달마다 열리는 행사 안내문 등

ㅇ 위탁받은 기관이나 단체에서 요청한 문서

- 공공기관의 위탁을 받아 사업을 진행하는 단체 등에서 요청한 경우

: 공공기관의 위탁을 받은 안내판 제작 업체의 감수 요청

ㅇ사업비가 따로 책정된 연구 용역 사업인 경우

: 연구 사업에 필요한 설문지 등

ㅇ 중앙행정기관의 보도 자료

- 보도 자료는 평가 대상물이므로 감수 대상에서 제외함

ㅇ 특정 범위에서 유통하거나 특정인을 대상으로 하는 문서, 개인 문서

- 협약서, 전시회 학습 지류,, 시험 문제, 개인 작품, 자기소개서 등

ㅇ 책자 형태로 간행되는 문서

- 백서, 사전, 용어집 등

감수 결과의 반영 여부를 회신하지 않으면 이후 감수 지원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국립국어원+공공용어+번역+감수+요청(양식)-수정+후++ (2).xlsx
0.01MB

320x100

공공용어 번역 요청

국립국어원 공공언어 통합지원에 접속하시면 공공언어 번역 탭이 있습니다. 공공언어 번역 요청하기 작성 시 감수 기준을 알려드리니 요청 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공공기관에서 요청하시는 공공용어 번역 안에 대한 영·중·일 감수도 지원하고 있으니 ‘공공용어 번역 요청’에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공공용어 번역 정보에서는 국립국어원의 번역 감수를 거친 표준 번역 안과 서울특별시, 한국관광공사, 국토지리정보원 등에서 제공한 공공용어 번역 정보를 함께 제공하고 있습니다. 영어, 중국어, 일본어에 따른 언어 선택, 검색 항목의 분류 선택, 번역 기관 출처 선택에 따라 관련 정보를 자세하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김치의 중국어 번역·표기를 신치(辛奇)’로 명시

기존에 김치의 중국어 번역 및 표기 례로 제시했던 파오차이(泡菜)’를 삭제하고, 신기(辛奇, 중국어 발음: )’로 명시했다고 합니다. 한국어와 달리 중국어에는 ’, ‘소리를 내는 글자가 없어 김치를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하지 못한다. 2013 농식품부에서는 중국어 발음(4,000) 분석, 중국 8대 방언 검토, 주중 대사관과 전문가 의견 수렴을 거쳐 김치의 중국어 표기로 신치(辛奇)’를 마련한 바 있고 올해 초 김치의 중국어 번역 후보 용어(16)를 추가 검토할 때에도 신치(辛奇)’는 김치와 발음이 유사하며, ‘맵고 신기하다는 의미를 나타내므로 김치를 표현하기에 적절한 용어로 선정했습니다. 최근 식품업계 등 민간에서 신치(辛奇)를 비롯한 김치의 중국어 표기 방안을 계속 요구했던 점을 고려해 김치의 중국어 번역 표기를 신치(辛奇)’로 사용함에 따라 우리의 김치와 중국 음식 파오차이를 명확히 구분하고, 나아가 중국에서 우리 고유 음식인 김치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김치와 파오차이 비교

김치는 CODEX 규격에 2001년에 김치(CXS 223-2001)로 등재했습니다. 정의는 배추에 고춧가루, 마늘, 생각, 파 무 등으로 만들어진 혼합 양념을 버무려 발표시킨 제품(CODEX/ CXS 223-2001)입니다. 특징은 젓갈을 사용해 저온 발표한 식품입니다. 파오차이는 별도의 CODEX 규격이 없고 과일과 채소 피클(CXS 260-2007) 규격에 포함된다고 합니다. ISO 규격에 2020년 등재했고 정의는 배추류, 겨자 줄기, 롱 빈(출콩), 고추, 무, 당근 등을 소금에 절여 발효시킨 제품(ISO/ FDIS 24220)입니다. 젓갈을 사용하지 않고 상온에서 발효합니다.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는 1962년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와 세계 보건기구(WHO)가 공동 설립한 국제기구로서, 국제 식품 교역 촌진을 위해 식품에 대한 국제 표준, 실행 규범 및 지침을 제정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국제표준화기구(ISO)는 1947년 설립된 비정부 조직으로 각종 산업 분야의 국제 교류를 원활히 하기 위해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국제 표준을 제정 보급하는 기구입니다. 파오차이가 등재된 ISO 문서(ISO/FDIS 24220)에서는 해당 식품규격이 김치에 적용되지 않는다(This document does not apply to kimchi).’는 내용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우리말 바로 쓰기] 공공언어 통합 지원과 김치의 올바른 외국어 표기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우리 문화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이 높아진 만큼 김치의 중국어 표기와 관련해 김치와 중국의 파오차이를 구분하고 한중 문화교류의 해(2021~2022)이니만큼 양국의 음식 문화를 포함한 다양한 고유문화에 대해 논의한다고 합니다. 김치의 세계적 위상이 높아지길 바랍니다.

 

 

 

320x100

댓글